바이블멍 127

[민수기] 31장 요약

민수기 31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미디안을 쳐서 복수하고,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1. 미디안에 대한 복수 명령 (1-2절)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스라엘 자손의 원수를 미디안에게 갚으라 그 후에 네가 네 조상에게로 돌아가리라"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이는 민수기 25장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유혹하여 죄를 짓게 한 미디안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집행하라는 지시입니다.2. 전쟁 준비와 수행 (3-12절)모세는 각 지파에서 천 명씩, 총 만 이천 명의 군사를 선발하여 전쟁을 준비했습니다.제사장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가 성소의 기구와 신호 나팔을 들고 군대와 함께 출전했습니다.이스라엘 군대는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미디안을 쳐서 그들의 모..

1멍1장/민수기 2025.05.28

성경이 말하는 스승을 대하는 자세: 영적 성장을 위한 겸손과 존중

오늘날 우리는 수많은 정보와 지식이 넘쳐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덕분에 배우고 가르치는 일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죠. 하지만 성경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선생님을 넘어, 영적인 스승, 곧 우리의 신앙 여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에 대한 깊이 있는 가르침을 줍니다. 과연 성경이 말하는 '스승을 대하는 자세'는 어떤 것일까요? 1. 존경과 순종: 권위 아래서 배우는 겸손 성경은 우리에게 영적인 지도자, 곧 스승들을 존경하고 순종하라고 가르칩니다. 히브리서 13장 17절은 "너희를 인도하는 자들에게 순종하고 복종하라 그들은 너희 영혼을 위하여 경성하기를 자신들이 청산할 자인 것 같이 하느니라 그들로 하여금 즐거움으로 이것을 하게 하고 근심으로 하게 하지 말라 그렇지 않으..

멍칼럼 2025.05.18

[민수기] 18장 요약

민수기 18장은 레위인과 제사장의 직무와 그들이 받을 몫에 대한 규정을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고라의 반역 사건 이후, 하나님께서는 이들의 역할을 명확히 하여 질서를 세우고자 하셨습니다.  1. 제사장의 직무와 책임 (1-7절)하나님은 아론과 그의 아들들인 제사장들에게 성소와 제단에 관한 모든 죄책을 지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이는 그들의 직무가 거룩하고 중요한 것임을 강조합니다.레위인은 제사장을 보조하며 회막에서 봉사하지만, 성소의 기구와 제단에는 가까이 가지 못하도록 경고하셨습니다. 이는 직무의 구분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제사장의 역할은 성소와 제단을 관리하고, 제사를 집행하며, 하나님께 나아가는 백성들을 위해 봉사하는 것입니다.2. 레위인의 직무와 몫 (20-24절, 앞부분과 이어짐)레위인은 이스라엘의 ..

1멍1장/민수기 2025.04.07

크리스천과 페미니즘

크리스천과 페미니즘은 복잡하고 다층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관점은 때로는 충돌하기도 하고, 때로는 공통의 가치를 공유하기도 합니다.  1. 성경적 관점과 페미니즘남녀 평등성경은 창세기 1장 27절에서 남녀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고 말하며, 남녀의 동등한 존엄성을 강조합니다.갈라디아서 3장 28절은 그리스도 안에서 남녀, 유대인과 이방인, 종과 자유인의 구분이 없다고 선언합니다.이러한 구절들은 페미니즘의 핵심 가치인 남녀 평등과 맥을 같이합니다.가부장제 비판일부 크리스천들은 성경을 가부장적 질서를 옹호하는 근거로 사용하지만, 성경은 당시 사회의 가부장적 문화를 비판하기도 합니다.예수 그리스도는 여성들을 존중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경청했으며, 여성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여했습니다.사랑과 정의기..

멍칼럼 2025.04.05

크리스천의 과거와 현재

과거와 현재의 크리스천은 시대적 배경과 사회 문화의 변화에 따라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1. 사회적 역할 및 위상과거과거에는 교회가 사회의 중심 역할을 했으며, 크리스천은 높은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종교적 신념이 사회 전반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으며, 크리스천의 삶은 사회 규범의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현재현대 사회는 다원화되고 세속화되면서 교회의 사회적 영향력이 감소했습니다.크리스천은 다양한 가치관이 공존하는 사회 속에서 자신의 신앙을 지키며 살아가야 합니다.개인의 자유와 다양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크리스천은 자신의 신앙을 어떻게 표현하고 실천할지에 대한 고민이 깊어졌습니다. 2. 신앙의 형태 및 표현과거과거에는 전통적인 예배 방식과 교리 중심의 신앙생활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멍칼럼 2025.03.03

[민수기] 6장 요약

나실인의 서원 (1-21절)나실인의 의미와 서원: 나실인은 하나님께 특별히 구별된 사람으로, 자발적으로 서원하여 자신을 거룩하게 구별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나실인은 남자나 여자 모두 될 수 있었습니다.나실인의 의무: 나실인은 서원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의무를 지켜야 했습니다.포도주와 독주 금지: 포도주, 독주, 포도즙, 식초 등 포도나무에서 나는 모든 것을 먹거나 마시지 않아야 합니다.머리털 관리: 머리를 자르거나 깎지 않고 길러야 합니다.시체 접촉 금지: 시체를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않아야 합니다. 부모나 형제의 시체라도 접촉해서는 안 됩니다.서원 기간과 종료: 나실인의 서원 기간은 정해져 있지 않았지만, 보통 일정 기간이 지나면 서원을 마치고 제사장에게 머리를 밀고 제물을 바치는 의식을 행했습니다..

1멍1장/민수기 2025.02.19

[민수기] 5장 요약

질투와 정결 민수기 5장은 이스라엘 백성의 정결함을 유지하고, 공동체 안의 화합을 이루기 위한 규례들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남편에게 속죄하는 제사와 질투에 대한 규례가 주된 내용입니다. 주요 내용부정한 자의 진영 밖으로 내쫓음: 한센병 환자, 유출병 환자, 시체를 만져 부정하게 된 자는 진영 밖으로 내쫓아야 했습니다. 이는 공동체의 순결을 유지하고, 하나님의 임재를 더럽히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습니다.남편에게 속죄하는 제사: 남편이 아내의 간음을 의심할 때, 제사장은 특별한 의식을 통해 아내의 죄를 드러내는 절차를 진행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남편의 의심을 해소하는 것을 넘어,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고, 하나님의 법을 준수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질투의 맹세: 만약 아내가 실제로 간음을 저질렀다면, 저..

1멍1장/민수기 2025.02.18

[민수기] 4장 요약

레위인의 역할과 성막 운반 민수기 4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 생활을 하면서 성막을 옮길 때, 레위인들이 어떤 역할을 맡았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레위 지파 중에서도 고핫 자손, 게르손 자손, 므라리 자손이 각각 어떤 성막 기구들을 운반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레위인의 역할: 레위인들은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성막을 옮기고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는 단순한 노동을 넘어,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성막을 섬기는 신성한 임무였습니다.고핫 자손: 고핫 자손은 성막 안에 있는 가장 거룩한 기구들을 운반했습니다. 여기에는 언약궤, 떡상, 등대, 분향단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은 성막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다루었기 때문에 매우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행동해야 했습니..

1멍1장/민수기 2025.02.17

[민수기] 3장 요약

레위인의 역할과 구별 민수기 3장은 이스라엘 백성 중에서 특별한 부르심을 받은 레위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레위인은 제사장을 돕는 역할을 하며, 성막과 관련된 모든 일을 담당했습니다. 주요 내용레위인의 선택: 레위인들은 이스라엘 백성의 장자를 대신하여 하나님께 바쳐진 존재였습니다. 이는 레위인들이 하나님께 속한 거룩한 존재임을 의미합니다.레위인의 역할: 레위인들은 성막을 옮기고, 성소를 관리하며, 제사장을 돕는 등 성소와 관련된 모든 일을 담당했습니다.레위인의 기업 상속: 레위인들은 다른 지파와 달리 땅을 기업으로 받지 못했습니다. 대신 하나님께 드리는 십일조를 받아 생활했습니다. 이는 레위인들이 전적으로 하나님께 헌신하여 봉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레위인의 인구 조사: 레위인도 다른 지파와 마찬가지..

1멍1장/민수기 2025.02.16

[민수기] 2장 요약

이스라엘 진영 배치 민수기 2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이동할 때 지파별로 어떻게 진을 쳤는지에 대한 상세한 기록입니다. 이는 단순한 행군 순서를 넘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이스라엘 공동체의 질서와 화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장입니다. 주요 내용성막을 중심으로: 이스라엘 백성은 이동할 때마다 성막을 중심으로 진을 쳤습니다. 성막은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곳이었으며, 이스라엘 백성의 모든 활동은 성막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지파별 배치: 각 지파는 성막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네 방향에 배치되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하시고 보호하신다는 것을 상징합니다.레위인의 역할: 레위 지파는 성막을 관리하고 옮기는 일을 맡았기 때문에 성막 주변에 진을 쳤습니다. 레위인은 이스라엘 백성을 위한 봉사..

1멍1장/민수기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