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 10

[신명기] 6장 요약

신명기 6장은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의 율법을 마음 다해 사랑하고 지킬 것을 강력하게 촉구하는 내용입니다. 특히, "쉐마 이스라엘(이스라엘아 들으라)"로 알려진 이스라엘의 핵심 신앙 고백이 담겨 있으며, 자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1. 율법 순종의 중요성 (1-3절)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들이 차지할 땅에서 여호와 하나님께서 명하신 모든 명령과 규례와 법도를 지켜 행하라고 강조합니다. 이는 그들이 잘 되고 번성하며, 조상들에게 맹세하신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서 오래 살기 위함이라고 말합니다. 2. 쉐마 이스라엘: 이스라엘의 신앙 고백 (4-9절) 이 장의 핵심 구절인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1멍1장/신명기 2025.06.28

[신명기] 5장 요약

신명기 5장은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호렙 산(시내 산)에서 맺은 언약과 십계명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며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이스라엘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전에, 하나님과의 관계와 그들의 의무를 다시금 확고히 하려는 모세의 의도를 보여줍니다. 1. 언약의 중요성 강조 (1-5절)모세는 모든 이스라엘에게 여호와께서 호렙 산에서 그들과 직접 맺으신 언약을 다시 한번 들으라고 촉구합니다. 이 언약은 그들의 조상들이 아닌, 바로 지금 살아 있는 모든 이스라엘 백성과 맺은 언약임을 강조합니다.여호와께서 불 가운데서 그들에게 직접 말씀하셨던 경험을 상기시키며, 이스라엘 백성이 그 목소리를 듣고 두려워하여 모세를 통해 말씀해 달라고 요청했던 상황을 설명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임재와 율법의 권위..

1멍1장/신명기 2025.06.19

[신명기] 4장 요약

신명기 4장은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의 율법과 규례를 지키고 순종할 것을 강력하게 권면하며, 불순종의 결과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이스라엘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전에, 그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마지막으로 가르치는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1. 율법 순종의 권면과 축복 (1-8절)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여호와께서 명하신 율례와 법도를 듣고 지켜 행하라고 강조합니다. 그렇게 해야만 그들이 살고 번성하며, 약속의 땅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그는 율법에 더하거나 빼지 말라고 엄히 경고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이 완전하며 변경되어서는 안 됨을 의미합니다.모세는 바알브올 사건(민수기 25장)을 상기시키며, 여호와를 따른 자들은 살아남았지만 바알브올을 따른 자들은 멸망했음을 ..

1멍1장/신명기 2025.06.16

[신명기] 3장 요약

신명기 3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 동편 땅에서 거둔 마지막 정복 전쟁의 승리, 즉 바산 왕 옥을 물리친 이야기와 정복한 땅의 분배, 그리고 모세가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하게 된 이유를 다시 한번 언급하며 백성에게 마지막 당부를 하는 내용입니다. 1. 바산 왕 옥과의 전투와 승리 (1-11절)이스라엘 백성은 헤스본 왕 시혼을 물리친 후, 방향을 돌려 바산으로 올라갔습니다.바산 왕 옥은 그의 모든 백성과 함께 나와 에드레이에서 이스라엘과 싸웠습니다.여호와께서는 모세에게 "그를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그와 그의 모든 백성과 그의 땅을 네 손에 넘겨주었으니 너는 헤스본에 거주하던 아모리 왕 시혼에게 행한 것 같이 그에게도 행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옥과 그의 아들들, 그리..

1멍1장/신명기 2025.06.11

[신명기] 2장 요약

신명기 2장 요약 신명기 2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광야에서 겪었던 우회적인 여정과 주변 민족들과의 관계, 그리고 아모리 족속과의 전투를 회고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가나안 땅 입성을 앞두고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공의로운 전쟁의 원칙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기 위함입니다. 1. 세일 산 우회 및 에돔, 모압, 암몬과의 관계 (1-23절)세일 산 우회 (1-8절):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데스바네아에서 돌이켜 홍해 길로 광야로 나아가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이는 세일 산에 거주하는 에돔 자손(에서 후손)의 땅을 피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에돔 땅은 이스라엘에게 주지 않을 것이며, 오직 값을 주고 물을 사 마시도록 허락하셨습니다. 이는 에돔이 에서의 후손이므로 그들의 기업을 침범하지 ..

1멍1장/신명기 2025.06.09

[신명기] 1장 요약

신명기 1장은 모세가 요단 동편 모압 평지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하는 설교의 서론이자, 지난 40년간의 광야 여정을 회고하는 내용입니다.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직전, 모세가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율법과 명령을 다시 한번 가르치며 과거를 돌아보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1. 모세 설교의 배경 (1-5절) 모세는 요단 건너편 모압 땅 광야에서 이스라엘 모든 자손에게 여호와께서 자기에게 명령하신 모든 것을 말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에 앞서, 하나님의 말씀과 규례를 다시 한번 명확히 듣고 순종할 것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2. 호렙 산에서 가데스바네아까지의 여정 회고 (6-18절) 모세는 먼저 이스라엘 백성이 호렙 산(시내 산)에서 하나님께 율법을 받았던 때를 상기시킵니다..

1멍1장/신명기 2025.06.06

[민수기] 36장 요약

민수기 36장은 슬로핫의 딸들의 상속 문제와 관련된 특별한 규례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앞서 민수기 27장에서 제정된 여성 상속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지파별 땅 분배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1. 길르앗 자손 족장들의 우려 (1-4절)요셉 자손 므낫세 지파 길르앗 자손의 족장들이 모세와 이스라엘 자손의 족장들 앞에 나아왔습니다.그들은 슬로핫의 딸들이 기업을 받아 다른 지파 사람과 결혼하게 되면, 그 딸들의 기업이 본래의 지파에서 떨어져 남편이 속한 지파로 넘어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이는 희년이 되면 모든 기업이 본래의 주인에게로 돌아가지만, 결혼을 통해 기업이 영구히 다른 지파로 이전되는 문제를 제기한 것입니다. 그들은 이로 인해 므낫세 지파의 기업이 줄어들고 다른..

1멍1장/민수기 2025.06.05

[민수기] 35장 요약

민수기 35장은 레위인들을 위한 성읍과 도피성에 대한 규정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 공동체 안에서 정의를 세우고 생명을 존중하며, 하나님의 율법이 공정하게 적용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1. 레위인의 성읍 (1-8절):성읍과 목초지 제공: 여호와께서는 모세에게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령하여 그들이 얻을 기업에서 레위인들에게 거주할 성읍들을 주라고 하셨습니다. 또한 성읍 주위의 목초지들도 함께 주어 그들의 가축을 기르게 했습니다.성읍의 수: 레위인들에게 총 48개의 성읍을 주되, 그중 6개는 도피성으로 지정하도록 했습니다.성읍과 목초지의 크기: 성읍의 중앙에서 사방으로 1,000규빗(약 450미터)까지는 목초지로 삼고, 목초지의 경계는 성읍 바깥에서 동쪽으로 2,000규빗, 남쪽으로 2,00..

1멍1장/민수기 2025.06.04

[민수기] 34장 요약

민수기 34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기업으로 받을 가나안 땅의 사방 경계를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약속의 땅이 어디까지인지를 명확히 하고, 지파별 땅 분배의 기준을 제시하기 위함입니다. 1. 가나안 땅의 경계 설정 (1-12절)남쪽 경계 (3-5절): 신 광야를 시작으로 에돔 변경까지 이어지고, 소금 바다(사해)의 남쪽 끝에서 시작하여 아그랍빔 비탈을 지나 신 광야를 거쳐 가데스바네아 남쪽으로, 다시 헷살 아달과 아스몬을 지나 애굽 시내에 이르고 대해(지중해)로 끝납니다.서쪽 경계 (6절): 대해(지중해)가 서쪽 경계가 됩니다.북쪽 경계 (7-9절): 대해에서 시작하여 호르 산(실제 산이 아닌 북쪽 경계의 한 지점), 하맛 어귀를 지나 스닷, 시브론, 하살에난에 이릅니다.동쪽 경계 (1..

1멍1장/민수기 2025.06.03

[민수기] 33장 요약

민수기 33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을 떠나 가나안 땅에 이르기까지 40년 동안 광야에서 이동했던 여정의 정착지들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어떻게 인도하셨는지를 보여주는 역사적인 기록이자,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증거하는 내용입니다. 1. 애굽에서 시내 광야까지의 여정 (1-15절)모세와 아론의 지휘 아래, 이스라엘 백성은 바로의 강한 손으로 애굽을 떠났습니다.첫 번째 정착지는 람셋이었고, 숙곳, 에담, 비하히롯, 마라, 엘림 등 홍해와 엘림 오아시스를 거쳐 시내 광야에 도착하기까지의 12개 정착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이 여정은 출애굽의 시작과 하나님이 베푸신 기적적인 인도하심을 상기시킵니다.2. 시내 광야에서 가데스까지의 여정 (16-36절)시내 광야를 떠나 기브롯핫..

1멍1장/민수기 2025.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