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14

[민수기] 26장 요약

민수기 26장은 이전 세대의 불신앙으로 인해 광야에서 죽은 자들을 대신하여, 가나안 땅 입성을 앞둔 새로운 세대를 대상으로 두 번째 인구 조사를 실시하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 두 번째 인구 조사 명령 (1-4절)여호와께서는 염병이 그친 후에 모세와 제사장 엘르아살에게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회중의 수를 조사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조사 대상은 20세 이상으로 전쟁에 나갈 만한 모든 남성이었습니다.이 인구 조사는 시내 광야에서 처음 실시했던 인구 조사 이후 약 40년 만에 이루어진 것입니다. 2. 각 지파별 인구 조사 결과 (5-51절)르우벤 지파부터 시작하여 각 지파별로 가족과 조상을 따라 20세 이상 남성의 수가 기록되었습니다.각 지파의 인구수는 다음과 같습니다.르우벤 지파: 43,730명시므온..

1멍1장/민수기 2025.04.26

[민수기] 25장 요약

민수기 25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모압 여인들과 음행하고 이방 신을 숭배하는 죄를 저질러 하나님의 진노를 사게 되는 비극적인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 브올의 음행과 우상 숭배 (1-5절)이스라엘 백성이 싯딤에 머물 때, 모압 여인들과 음행하기 시작했습니다.모압 여인들은 백성을 그들의 신들에게 제사하는 자리에 초대했고, 이스라엘 백성은 함께 먹고 그들의 신들에게 절했습니다.이스라엘이 바알브올을 섬기는 죄를 범하자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진노하셨습니다.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백성의 지도자들을 잡아 여호와 앞에서 햇볕 아래 매달아 하나님의 진노를 이스라엘에게서 떠나게 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2. 비느하스의 의로운 행동 (6-18절)모세와 온 회중이 회막 문에서 울고 있을 때, 이스라엘 사람 하나가 미디안 ..

1멍1장/민수기 2025.04.25

[민수기] 24장 요약

민수기 24장은 모압 왕 발락이 술사 발람을 데리고 세 번에 걸쳐 이스라엘을 저주하려 했지만 모두 실패하고, 오히려 발람이 하나님의 영에 감동되어 이스라엘과 그들의 미래를 축복하고 예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 발람의 세 번째 예언과 축복 (1-9절)발람은 이전 두 번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축복하기를 기뻐하시는 것을 깨닫고, 점술을 쓰지 않고 광야를 향하여 얼굴을 들었습니다.그는 하나님의 영에 감동되어 이스라엘의 장막이 질서정연하게 펼쳐진 모습을 보고 감탄하며 그들의 아름다움과 강성함을 노래했습니다.발람은 "야곱아 네 장막들이, 이스라엘아 네 거처들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고"라고 찬양하며 그들의 번성함과 승리를 예언했습니다. 그는 이스라엘을 힘센 사자에 비유하며 그 누구도 감히..

1멍1장/민수기 2025.04.24

[민수기] 23장 요약

민수기 23장은 모압 왕 발락이 술사 발람을 데리고 세 번에 걸쳐 이스라엘을 저주하려 시도하지만, 하나님의 개입으로 인해 번번이 축복으로 바뀌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 첫 번째 저주 시도와 축복 (1-12절)발락은 발람을 브올의 산 꼭대기로 데려가 제단을 쌓고 수송아지 일곱 마리와 숫양 일곱 마리를 준비하여 제사를 드렸습니다.발람은 발락에게 잠시 기다리라고 한 후 하나님을 만났고, 하나님께서는 발람의 입에 저주가 아닌 축복의 말씀을 넣어주셨습니다.발람은 발락에게 "하나님이 저주하지 않으신 자를 내가 어찌 저주하며 여호와께서 꾸짖지 않으신 자를 내가 어찌 꾸짖으랴"라고 말하며 이스라엘의 번성함과 특별한 지위를 축복했습니다.발락은 발람에게 "어찌하여 그들을 저주하지도 말고 축복하지도 아니하였느냐"..

1멍1장/민수기 2025.04.23

[민수기] 22장 요약

민수기 22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모압 평지에 진을 치자, 모압 왕 발락이 술사 발람을 불러 이스라엘을 저주하려 하는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1. 발락의 두려움과 발람 소환 (1-14절)이스라엘 백성이 아모리 족속을 물리치고 모압 평지에 진을 치자, 모압 왕 발락은 이스라엘의 수가 많고 강력한 것을 보고 심히 두려워했습니다.발락은 미디안 장로들과 상의하여 메소포타미아의 브올의 아들 술사 발람을 불러 많은 예물을 주며 이스라엘을 저주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는 발람의 저주가 효력이 있다고 믿었습니다.발락의 사자들이 발람에게 도착하여 그의 요청을 전달했지만, 발람은 밤을 지내며 하나님의 뜻을 묻겠다고 답했습니다.하나님께서는 발람에게 "너는 그들과 함께 가지도 말고 그 백성을 저주하지도 말라 그들은 복을 받..

1멍1장/민수기 2025.04.18

[민수기] 21장 요약

민수기 21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으로 나아가는 여정에서 겪는 여러 전투와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 아랏 왕과의 전투 (1-3절)가나안 남방에 거주하던 아랏 왕이 이스라엘이 아다림 길로 온다는 소식을 듣고 이스라엘을 공격했습니다.이스라엘은 하나님께 맹세하여 아랏 왕과 그의 성읍들을 멸망시키겠다고 서원했고, 하나님께서 그들의 기도를 들으셨습니다.이스라엘은 아랏과 그의 성읍들을 쳐서 멸망시키고 그곳 이름을 '호르마'(멸망)라고 불렀습니다. 2. 백성의 불평과 놋뱀 사건 (4-9절)이스라엘 백성은 에돔 땅을 돌아가는 길로 인해 마음이 상하여 하나님과 모세를 원망했습니다. 그들은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는가? 먹을 것도 없고 물도 없으며 이 하찮은 음식을 싫어한..

1멍1장/민수기 2025.04.17

[민수기] 20장 요약

민수기 20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겪는 물 부족과 그로 인한 불평, 그리고 모세의 범죄와 아론의 죽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 미리암의 죽음 (1절)이스라엘 자손 온 회중이 신 광야에 이르러 가데스에 머물렀는데, 그곳에서 미리암이 죽어 장사되었습니다. 2. 물 부족과 백성의 불평 (2-5절)가데스에서 물이 부족하자 백성들은 다시 모여 모세와 아론을 원망하며 "차라리 우리 형제들이 여호와 앞에서 죽던 날에 우리도 죽었더라면 좋았을 것을"이라며 불평했습니다.그들은 광야의 척박함과 물 부족을 한탄하며 애굽에서의 풍요로운 삶을 그리워했습니다. 3. 므리바 물 사건과 모세의 범죄 (6-13절)모세와 아론은 회중 앞에서 떠나 회막 문에 이르러 엎드렸고, 여호와의 영광이 그들에게 나타났습니다.하나님께서는 ..

1멍1장/민수기 2025.04.16

[민수기] 19장 요약

민수기 19장은 부정한 자를 정결하게 하는 붉은 암송아지 재에 대한 규례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 백성이 거룩함을 유지하고 성결한 공동체 생활을 이어가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정결 의식입니다.  1. 붉은 암송아지 규례 (1-10절)흠이 없고 아직 멍에를 메지 않은 붉은 암송아지를 잡아 제사장 엘르아살 앞에서 불태워야 합니다.암송아지의 피는 손가락으로 회막 앞을 향하여 일곱 번 뿌립니다.암송아지의 가죽, 고기, 피, 똥과 함께 백향목, 우슬초, 붉은 실을 불 속에 던져 태웁니다.정결한 사람은 암송아지의 재를 모아 진영 밖 정결한 곳에 보관합니다. 이 재는 부정을 씻는 정결수로 사용됩니다.이 의식을 행한 제사장과 불태운 사람, 재를 모은 사람은 옷을 빨고 저녁까지 부정하게 됩니다. 2. 부..

1멍1장/민수기 2025.04.08

[민수기] 18장 요약

민수기 18장은 레위인과 제사장의 직무와 그들이 받을 몫에 대한 규정을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고라의 반역 사건 이후, 하나님께서는 이들의 역할을 명확히 하여 질서를 세우고자 하셨습니다.  1. 제사장의 직무와 책임 (1-7절)하나님은 아론과 그의 아들들인 제사장들에게 성소와 제단에 관한 모든 죄책을 지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이는 그들의 직무가 거룩하고 중요한 것임을 강조합니다.레위인은 제사장을 보조하며 회막에서 봉사하지만, 성소의 기구와 제단에는 가까이 가지 못하도록 경고하셨습니다. 이는 직무의 구분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제사장의 역할은 성소와 제단을 관리하고, 제사를 집행하며, 하나님께 나아가는 백성들을 위해 봉사하는 것입니다.2. 레위인의 직무와 몫 (20-24절, 앞부분과 이어짐)레위인은 이스라엘의 ..

1멍1장/민수기 2025.04.07

크리스천과 페미니즘

크리스천과 페미니즘은 복잡하고 다층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관점은 때로는 충돌하기도 하고, 때로는 공통의 가치를 공유하기도 합니다.  1. 성경적 관점과 페미니즘남녀 평등성경은 창세기 1장 27절에서 남녀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고 말하며, 남녀의 동등한 존엄성을 강조합니다.갈라디아서 3장 28절은 그리스도 안에서 남녀, 유대인과 이방인, 종과 자유인의 구분이 없다고 선언합니다.이러한 구절들은 페미니즘의 핵심 가치인 남녀 평등과 맥을 같이합니다.가부장제 비판일부 크리스천들은 성경을 가부장적 질서를 옹호하는 근거로 사용하지만, 성경은 당시 사회의 가부장적 문화를 비판하기도 합니다.예수 그리스도는 여성들을 존중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경청했으며, 여성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여했습니다.사랑과 정의기..

멍칼럼 2025.04.05